본문 바로가기
Economy

다시 돌아온 고용 보고서를 앞두고 급락

by 멘탈만 잡고 가자 2022. 11. 4.
반응형

 

  지수 등락(%)
다우 32,001.25 ▼-0.46
S&P 500 3,719.89 ▼-1.06
나스닥 10,342.94 ▼-1.73

주요 경제 지표

①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 수당 청구건수가 21.7만 건을 기록함

②이는 2주 전 수치인 21.8만 건보다는 감소한 것으로 시장 전망치 22만 건을 상회한 것임.

③4주 이동 평균 건수는 21.875만 건으로 2주 전 21.925만  건보다 줄어듬.

파월 매파적인 발언과 BOE 침체 전망 글로벌 증시 급락

시장의 예상을 뒤집는 제롬 파월 연방 준비제도 의장이 전날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매파적인 발언과, 영란은행(BOE)의 경기 침체 전망 속에 글로벌 주요 증시가 하락 마감했습니다.

미국 증시는 증시는 전일 파월 의장의 매파적인 발언과 BOE의 경기 침체 전망의 영향에 하락 마감했습니다.

전일 파월 미 연방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어느 시점에서는 적절하다면서도, 기준금리의 궁극적 수준은 당초 예상보다 높을 것임을 언급했습니다.(시장은 내년 봄께에 5.5% 예상함)

④미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부보다 1000건 줄어든 21만 7000건을 집계되며 언론은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향후 경기 침체가 우려가 커지는고 있는 상황에서도 노동시장은 매우 경고한 상태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통화정책 기조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함)

⑤50 파크 인베스트먼츠 최고 경영자인 애덤 사르한은 연준의 피벗을 보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면 실업률이 높아지고 사람들의 일자리를 잃어야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는 멈출 것이라 말했습니다.

⑥금일 BOE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75dp 인상한 3.0%로 결정, 인상폭 기준으로는 1989년 이후 최대치이고 기준금리 수준으로는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BOE는 지난 12월부터 이날까지 8회 연속 금리 인상함)

⑦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 인상폭을 축소하거나 속도 조절을 시사했음에도 영국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을 제어하기 위해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⑧한편 BOE는 영국 GDP 성장률이 시장 금리 상승 경고에 따라 2023년과 2024년 상반기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보며 BOE는 이와 같은 전망이 에너지 가격과 재정 지출 부담으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⑨앞서 유럽 증시에서는 전일 파월 의장의 매파적인 발언을 소화하며 독일 프랑스 증시가 하락했으며 반명 영국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 속에 파운드화가 약세를 보이며 상승했습니다.

⑩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2023년 전망 보고서에서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높은 금리 암울한 사장 전망이 경제를 강타 이례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신용주가 글로벌 디폴트를 증가시키고 유동성을 부족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⑪국제 유가는 달러 강세와 더불어 중국에서 코로나 19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원유 수요 둔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하락 마감했습니다.

⑫달러지수는 영란은행이 기준금리 75dp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전일대비 1% 중반대에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⑬천연가스 가격은 미국 천연가스 재고량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면서 천연가스 가격은 하방 압력을 받았습니다.(미국 중구와 동부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것을 예상함)

아시아 증시

①중국 증시는 코로나 19 지역사회 감염자 수가 3,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하락 마감했습니다.

②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현지시간 2일 중국 보토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무증상자를 포함 3,200명을 기록했습니다.(신규 확진자수가 3,000명을 상회한 것은 8월 17일 이후 처음임)

③애플의 최대 아이폰 생산 공장을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7일간 폐쇄 명령을 내리면 폭스콘 공장 근로자들이 대규모 탈출하고 있습니다. 

④일본 엔화도 한때 148.44엔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며 약세로 전환 미국 채 수익률이 상승세를 재개한데 따른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됐습니다.

 

반응형

댓글